내가 그린
Preview Image

병원 통계 시스템 리팩토링 - 중복 로직 제거로 데이터 신뢰도 높이기

들어가며 병원 통계 기능은 신규·재방문·이탈의심·노쇼(미방문) 같은 데이터를 통해 병원 운영 현황을 보여준다.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병원이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방향표다. 이번 글에서는 기존에 단순하게 정의되었던 통계 데이터의 기준(‘신규’, ‘이탈의심’)을 사용자에게 더 가치 있게 다시 세우고, 그로 인해 복잡해진 로직을 어떻게 ...

Preview Image

AI가 통계를 바꾼 순간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부터 비동기 전환까지

들어가며 병원 통계 기능은 데이터와 그래프를 함께 보여주어 사용자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하지만 처음 이 기능을 접하는 사람에게는 여전히 복잡하고 어렵게 느껴질 때가 있었다. “AI를 활용해 통계를 더 쉽게 알려주면 어떨까?” 그래프를 직접 해석하기보다 AI가 자연어로 설명해 준다면 누구나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

Preview Image

예약 시스템 동시성 제어: Redis 분산 락을 선택한 이유와 구현 경험

들어가며 티켓팅에서 같은 좌석을 동시에 잡거나, 하나의 주문건에 결제 요청이 동시에 들어오면 어떻게 될까? 동시성(concurrency) 을 제대로 다루지 못하면 좌석이 이중 배정되거나 결제가 중복 승인될 수 있다. 내가 담당하는 예약 서비스도 마찬가지였다. 병원·환자 서비스에서는 환자가 앱에서 진료 시간을 예약할 수 있고, 병원이 사용하는 클라이...

Preview Image

Docker 레이어 캐시로 빌드 시간 30초 단축 — 잃어버린 하루를 되찾자

들어가며 스타트업의 경쟁력은 사용자에게 가치를 얼마나 빨리 전달하느냐에 달려 있다. 팀에서는 기능을 빠르게 개발하고 매주 운영 환경(프로덕션)에 배포한다. 또한 프로덕션 배포 전 staging 환경에서 최종 QA를 거치기에 배포 빈도는 자연스럽게 높다. 문제는 사소한 변경에도 빌드가 매번 처음부터 시작되어 대기 시간이 누적됐다는 점이다. 이번 글에...

Preview Image

'일단 돌아가게 해!'에서 '왜?'를 묻는 개발자로 - 2년차 성장 회고

1. 들어가며 개발자가 된 지 벌써 2년이 되었다. 작년 이맘때쯤 썼던 1년차 회고를 다시 읽어보니, 지금의 내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지난 1년 동안 어떤 경험을 했고, 어떤 성장을 했는지, 또 앞으로 무엇을 준비해야 할지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2. 2년차는 무엇이 달라졌을까? “일단 돌아가게 해...

Preview Image

🌱 첫 멘토링 도전기: 5주간의 성장 기록

들어가며 개발자 부트캠프 ‘크래프톤 정글’ 커리큘럼의 마지막 단계는 ‘나만의 무기’라 불리는 5주간의 팀 프로젝트이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에 참여한 크래프톤 정글 8기 나만무 프로젝트의 멘토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예상 독자 첫 멘토링을 고민 중인 3-5년차 개발자 멘토링 경험은 없지만 지식 공유에 관심 있는 분 부트캠프 졸업생으로 ...

2025년 상반기 개발자 회고

벌써 2025년이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 상반기를 돌아보며 어떤 경험을 통해 성장했었는지, 잘하고 있는 점은 무엇인지, 개선할 점은 무엇인지 회고 해보려 한다. 토스 러너스하이 서버 1기: 시야를 넓힌 3개월 1월부터 3월까지 러너스하이에 참여했다. 토스의 실제 업무 성과 지표를 멘토링받고, 이를 사내 업무에 적용해보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이 과정...

Preview Image

코드 리뷰 허들 낮추기 프로젝트: GitLab + Slack + ChatGPT로 자동화한 리뷰 문화 개선기

1. 들어가며 코드 리뷰는 중요하다. 리뷰를 통해 중요한 버그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코드가 예측 가능하고 읽기 쉽게 작성되었는지도 점검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리뷰를 받는 사람뿐만 아니라, 리뷰어에게도 큰 도움이 된다. 자신의 논리를 설명하고, 더 나은 방법을 함께 고민하면서 모두가 함께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코드 리뷰...

Preview Image

예약 시스템 리팩토링: 방 도메인 설계와 프로세스 개선

들어가며 담당하는 도메인 중 가장 복잡도가 높은 예약 도메인을 2개월에 걸쳐 개선했다. 이번 글에서는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어떤 방식으로 개선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는지를 정리하였다. 1. 프로젝트 배경 기간: 2025.02.17 ~ 2025.04.17 (2개월) 목적: 기존 모비닥의 예약 구조는 예약을 처리하는 사람’(의사/직원)에...

Preview Image

글또 10기 제가 직접 한번 해보겠습니다.

1. 들어가며 24년 9월부터 25년 3월까지 진행된 6개월간의 글또 10기 여정이 마무리되었다. 이번 글을 통해 그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나는 어떻게 성장했는지 되돌아보려고 한다. 오랜만에 글또 첫 번째 제출글에서 당시에 글또를 신청한 이유와 목표에 대해 작성한 것을 다시 읽어보았다. 글또를 통해 얻고 싶은 것은? 좋은 글의 ...